본문 바로가기
영화

곡성(나홍진 감독, 미스터리, 해석)

by skybinja 2025. 7. 16.
반응형

2016년 개봉한 나홍진 감독의 영화 《곡성》은 한국 미스터리 스릴러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전라도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의문의 연쇄살인과 주민들의 광기, 그리고 외지인의 정체를 둘러싼 미스터리로 전개된다. 영화는 단순한 범죄물이 아니라 종교적 상징, 민속신앙, 괴담 요소가 혼합된 복합장르로, 여러 해석이 가능해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분석되고 있다.

나홍진 감독의 연출과 세계관

《곡성》은 기존 나홍진 감독의 전작들인 《추격자》나 《황해》와 달리 직접적인 범죄가 아닌 "악의 실체"에 대한 은유와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영화 초반부는 시골 마을에서 벌어지는 연쇄적인 사건과 형사 종구(곽도원)의 시점으로 진행되며, 코믹하면서도 어딘가 불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점차 시간이 흐르며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신과 악마, 귀신, 무당 등 다양한 초자연적 요소가 개입되며 단순 미스터리를 넘어선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나홍진 감독은 《곡성》을 통해 "악은 어디에서 오는가", "우리는 악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작품 전반에 걸쳐 종교적인 상징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독교, 무속신앙, 일본 괴담이 혼재된 구조는 관객으로 하여금 한 가지 시선으로는 결말을 판단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는 감독이 관객과 ‘해석의 싸움’을 벌이는 방식이며, 실제로 국내외 관객들 사이에서도 결말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줄거리 정리: 악몽 같은 전개

줄거리는 마을 경찰 종구가 어느 날 발생한 살인 사건을 조사하며 시작된다. 처음에는 마을 주민들의 이상한 행동, 피부병, 폭력적 변화가 전염병이나 약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사건의 중심에는 "외지인"이라 불리는 일본 남자(쿠니무라 준)가 있다. 이 외지인의 존재는 곧 마을 사람들 사이에서 ‘악의 근원’으로 지목되며 공포심을 증폭시킨다. 종구의 딸 효진(김환희) 역시 점점 이상한 행동을 보이며 병세가 악화된다. 무당 일광(황정민)을 불러 굿을 진행하지만, 굿 도중 효진의 상태가 악화되고 일광은 굿을 중단한다. 이후 종구는 외지인을 직접 죽이기로 결심하고, 무덤을 파헤치고 외지인의 집으로 향하지만, 이미 모든 상황은 계획된 듯한 느낌을 준다. 결국 영화 후반, 종구는 딸을 지키기 위해 외지인을 공격하지만, 그는 끝내 누구도 구하지 못한다. 라스트 신에서 종구는 피범벅이 된 상태로 딸 곁에 앉아 오열한다. 그 순간 카메라는 집안을 스캔하며, ‘딸이 인간인지 악령인지’ 알 수 없는 기묘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복선, 해석, 상징 분석

《곡성》은 단순 줄거리를 넘어 다양한 복선과 상징으로 가득 찬 영화다. 대표적인 요소는 ‘사진’이다. 외지인의 집에 걸린 수많은 사람들의 사진, 그중 효진의 사진이 중심에 있다는 점은 외지인이 단순한 방관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악의 존재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닭이 울리는 시간, 피투성이의 꽃, 일광의 뿔모양 장식 등도 각각 종교적, 민속적 상징으로 해석된다. 특히 ‘함정에 빠지지 마라’는 미상의 여인이 종구에게 하는 대사는 영화의 핵심이기도 하다.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하는가? 외지인은 진짜 악인가? 아니면 일광이야말로 마을을 저주로 몰아넣는 존재인가? 감독은 끝까지 명확한 해답을 주지 않는다. 그 대신 복선과 단서들을 뿌려 관객이 각자의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여지를 남긴다. 때문에 《곡성》은 관람자에 따라 전혀 다른 감상과 해석이 가능하며, 이는 이 영화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핵심 요인이기도 하다.

《곡성》은 단순한 공포 영화가 아닌, 철학적 메시지와 문화적 상징이 결합된 한국 영화의 대표 미스터리 걸작이다. 아직 보지 않았다면 꼭 한 번 감상해 보길 추천하며, 이미 본 이라면 복선과 상징을 되짚으며 다시 보면 전혀 새로운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반응형